앨런 튜링 천재과학자의 비극적인 죽음(이미테이션 게임)
- IT 인터넷
- 2020. 4. 2. 12:29
무엇이든 상상할 수 있는 사람이
무엇이든 만들어 낼 수 있다.
- Alan Turing <1912.06.23~1954.06.07> -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학자이며 논리학자 그리고 컴퓨터 과학자였다.
그는 컴퓨터 과학과 인공지능 분야에 엄청난 업적을 이루었기에 '컴퓨터의 아버지'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다닌다.
세계 2차 대전중 독일군의 암호체계인 '에니그마'를 해석하여 수많은 장병의 목숨을 구하였으며,
인공지능과 컴퓨터의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그의 말로는 비참했다.
영국 정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화학적 거세를 당하였으며 그의 업적은 기밀에 붙여졌다.
유죄 판결을 받고 2년 뒤,
그는 청산가리를 주입한 사과를 한입 깨물어 먹고 자살했다.
그의 죄과 사면되고 영국 정부의 사죄를 받기까지는
그가 무덤에 묻히고 나서도 '59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
"우리는 가까운 미래 밖에는 볼 수 없지만,
그 미래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는 충분히 많이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죽었으며 젊은 청년들이 조국을 수호하기 위하여 목숨을 걸고 싸웠다.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쟁이었으며 최대의 전쟁이었다.
짙은 녹색의 산림과 활기가 넘치던 도시는 순식간에 폐혀가 되었으며,
7,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제2차 세계대전'은 6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그 막을 내렸다.
독일군의 암호 기계인 '에니그마'를 해독하지 못했더라면 전쟁의 승전국은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영국군은 우연찮게 독일군의 '에니그마'를 입수했지만 오히려 절망에 빠졌다.
여러개의 톱니바퀴가 맞물리며 엄청난 경우의 수를 만들었으며,
인간이 그 모든 경우의 수를 해독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해독할 수 있다"
분명히 그렇게 말했다.
'에니그마'만 해독할 수 있다면 전쟁을 끝낼 수 있었으며,
더 이상 내 가족이 죽는 슬픔을 경험하지 않아도 되었다.
하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다.
모두가 불가능이라고 여겼다.
그래도 어쩔 수 없었다. 그를 믿어보기로 했다.
"과거 어떤 전쟁에서도
어느 한쪽이 반대쪽의 군사 정보를 모두 읽어낸 적은 없었다."
엘런 튜링의 '봄브(bombe)'는 그렇게 탄생되었다.
독일군이 주고받는 군사암호를 불과 몇 시간 만에 해석할 수 있었다.
전쟁의 분위기는 순식간에 반전되었다.
다음과 같은 삼단논법이 미래에 쓰일까 봐 두렵다네,
'튜링은 기계가 생각할 수 있다고 믿었다.'
'튜링은 남자와 잤다.'
'그러므로, 기계는 생각할 수 없다.'
고통을 담아
- 앨런 튜링 -
판결이 내려졌다.
'유죄'
사회를 혼란시킨다는 이유였다.
전쟁은 끝났고, 평범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단지 집에 도둑이 들어 신고를 했을뿐이었다.
범인은 그의 애인이자 같이 살던 19살 소년 '아널드 머리'였다.
앨런 튜링은 '성소수자'였으며,
영국은 성소수자를 인정하지 않았다. 명백한 범죄행위였다.
동성애 행위에 대하여 '여성 호르몬' 투여를 통한 '화학적 거세'라는 판결을 받았다.
앨런 튜링은 깊은 우울증에 빠지게 되었고,
직접 사과에 청산가리를 주사한 뒤 사과를 한입 베어 먹으며 스스로 생을 마감하였다.
"사회가 나에게 여자로 변하도록 강요했으므로,
나는 가장 순수한 여자가 선택할 만한 방식의 죽음을 택한다."
이미테이션 게임
24시간 마다 바뀌는 해독불가 암호암호를 풀고 1,400 만 명의 목숨을 구한 천재 수학자 매 순간 3명이 죽는 사상 최악의 위기에 처한 제 2차 세계대전.절대 해독이 불가능한 암호 ‘에니그마’로 인해 연합군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된다결국 각 분야의 수재들을 모아 기밀 프로젝트 암호 해독팀을 가동한다.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베네딕..
movie.daum.net
'IT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Tube 동영상 다운로드 프로그램 없이도 가능 (0) | 2020.04.25 |
---|---|
카카오톡 생일 비공개 하기 카카오톡 내 생일 비공개 (0) | 2020.04.23 |
페이스북 타임라인 숨기기(페이스북 타임라인 막기) 나만 보는 법 (0) | 2020.04.23 |
성공한 소시오패스 스티브잡스 (0) | 2020.03.31 |
IT 역사의 시작이자 Apple(애플) 을 만든 게임 퐁(PONG) (0) | 2020.03.27 |
이 글을 공유하기